가족 Archives - 프라이스위키 https://pricewiki.xyz/category/family/ 법률 정보 - 사례 중심 Sat, 24 May 2025 07:57:08 +0000 ko-KR hourly 1 https://wordpress.org/?v=6.8.2 https://pricewiki.xyz/wp-content/uploads/2024/06/free-icon-letter-w-5584778-150x150.png 가족 Archives - 프라이스위키 https://pricewiki.xyz/category/family/ 32 32 213645811 아파트 증여 문제로 인한 형제 다툼 사례 https://pricewiki.xyz/family/%ec%95%84%ed%8c%8c%ed%8a%b8-%ec%a6%9d%ec%97%ac-%eb%ac%b8%ec%a0%9c%eb%a1%9c-%ec%9d%b8%ed%95%9c-%ed%98%95%ec%a0%9c-%eb%8b%a4%ed%88%bc-%ec%82%ac%eb%a1%80/ Sat, 24 May 2025 07:40:10 +0000 https://pricewiki.xyz/?p=4584 사례 저는 3남매 중 장남입니다. 결혼 후에도 부모님과 가까운 거리에 살면서 병원 진료 동행, 약값이나 생활비 정리, 관리비 납부 등 대부분의 일을 제가 맡아 해왔습니다. 아버지가 몇 년 전 돌아가시고 나서도 어머니를 모시며 거의 매일 같이 지냈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 어머니가 제게 서울 강동구의 아파트를 증여하셨고, 이 사실이 둘째 동생과 막내 동생에게 알려졌습니다. 그 후로 […]

The post 아파트 증여 문제로 인한 형제 다툼 사례 appeared first on 프라이스위키.

]]>
사례

저는 3남매 중 장남입니다. 결혼 후에도 부모님과 가까운 거리에 살면서 병원 진료 동행, 약값이나 생활비 정리, 관리비 납부 등 대부분의 일을 제가 맡아 해왔습니다. 아버지가 몇 년 전 돌아가시고 나서도 어머니를 모시며 거의 매일 같이 지냈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 어머니가 제게 서울 강동구의 아파트를 증여하셨고, 이 사실이 둘째 동생과 막내 동생에게 알려졌습니다. 그 후로 동생들이 저에게 심하게 따지고 들기 시작했습니다. “왜 혼자만 받았느냐”, “그건 원래 부모 재산이니 다 같이 나눠야 한다”는 말까지 했습니다. 심지어 막내는 어머니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형한테만 다 넘긴 이유가 뭐냐”며 감정적으로 대응했고, 지금은 가족 단톡방도 나간 상태입니다.

저로서는 정말 억울한 마음이 큽니다. 부모님 가까이서 오랜 시간 정성을 다해 모셔왔고, 어머니도 늘 저에게 고맙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다 “니가 제일 애썼으니 집은 너한테 주마” 하신 것이지, 제가 강요하거나 요구한 것이 전혀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와서 동생들이 법적 대응 운운하고, 유류분 청구까지 생각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마음이 너무 무겁습니다. 어머니도 큰 스트레스를 받고 계시고요. 정말 이런 상황에서 제가 어떤 법적 방어를 할 수 있을지, 어머니의 증여가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건지도 알고 싶습니다. 저로서는 정당한 증여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답변

지금 겪고 계신 상황, 정말 복잡하고 마음도 많이 힘드실 것 같습니다. 오랜 시간 부모님을 가까이에서 돌봐오신 점, 그리고 어머니께서 스스로 결정해 아파트를 증여하셨다는 점을 생각하면 억울하고 당황스러운 마음이 드는 건 충분히 이해됩니다.

어머니의 증여는 법적으로 유효합니다

우선, 어머니가 귀하에게 아파트를 증여하신 건 민법상 ‘증여 계약’에 해당합니다. 어머니가 스스로 원하셔서 주신 것이고, 귀하도 이를 받아들인 상황이라면 증여 자체는 적법하고 유효합니다.

다만, 형제들 사이에서 이런 증여가 갈등의 원인이 되는 경우엔 두 가지 문제가 주로 제기됩니다.

첫째, 증여세는 받는 사람이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는데, 혹시 신고가 누락된 상태라면 3개월 이내에 신고를 하셨는지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안 하셨다면 지금이라도 빨리 정리하시는 게 좋습니다. 미신고 시 가산세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유류분 청구, 지금은 할 수 없습니다

유류분은 법적으로 상속인에게 최소한 보장되는 상속 지분인데, 중요한 건 어머니가 돌아가신 이후에만 청구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지금처럼 어머니께서 생존해 계신 상황에서는 유류분 청구는 법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다만 어머니가 돌아가신 이후에는, 이번 아파트 증여가 유류분 계산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귀하처럼 자녀이자 공동상속인이 증여를 받았을 경우엔, 증여 시점이 아무리 오래 전이더라도 유류분 산정에 반영되는 게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어머니의 재산이 아파트 한 채뿐이고, 이게 20억 원이라면 동생들은 각자 약 3억 3천만 원 정도를 유류분으로 주장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금액을 현금으로 반환하라고 요구할 수도 있고, 아파트 지분을 청구하는 방식으로 소송을 제기할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준비하시면 좋을까요?

지금 단계에서 할 수 있는 일은 크게 세 가지 방향입니다.

(1) 증여가 정당하다는 걸 확실히 해두는 것

  • 어머니가 직접 증여 의사를 밝힌 문서나 영상이 있다면 큰 도움이 됩니다.
  • 증여계약서를 공증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증여세는 반드시 기한 내에 신고하시고, 납부 내역도 잘 챙겨두세요.

(2) 동생들의 유류분 청구에 대비하는 것

  •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남은 재산이 어떻게 되는지 미리 파악해두세요. 예금이나 다른 재산이 있으면 유류분 분쟁이 좀 더 완화될 수 있습니다.
  • 만약 실제로 유류분 청구가 들어온다면, 귀하가 아파트를 그대로 소유하시고 금액으로 정산하는 방식(가액 반환)도 가능합니다.
  • 그리고 귀하께서 오랫동안 부모님을 돌봐오신 부분은 기여분으로 주장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동행, 생활비 지출, 약값 정산 등 관련 기록들을 잘 정리해두세요.

(3) 가족 간 갈등을 완화하는 방법도 필요합니다

  • 가능하다면, 어머니께서 동생들에게도 직접 증여 이유를 말씀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 혹은 변호사나 제3자를 통해 가족 간 대화를 시도해 보시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때로는 소액이라도 형제들에게 일부를 나눠주거나, 향후 재산 분할 계획을 미리 공유하는 방식으로 갈등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꼭 챙기셔야 할 것

  • 증여세 신고 여부 확인 및 납부
  • 어머니의 증여 의사를 입증할 자료(진술, 영상, 문서 등)
  • 기여분 관련 지출 내역 정리
  • 향후 유류분 소송에 대비한 재산 현황 파악
  • 변호사 상담을 통한 시나리오 정리

이 사이트의 정보는 일반적인 법률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인 법률자문이나 공식적인 법적 의견이 아닙니다. 구체적인 법적조언이 필요한 경우, 변호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이 사이트의 정보이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떠한 법적책임도 지지않습니다.

The post 아파트 증여 문제로 인한 형제 다툼 사례 appeared first on 프라이스위키.

]]>
4584
장남의 간병 기여와 형제 간 상속 갈등 https://pricewiki.xyz/family/%ec%9e%a5%eb%82%a8%ec%9d%98-%ea%b0%84%eb%b3%91-%ea%b8%b0%ec%97%ac%ec%99%80-%ed%98%95%ec%a0%9c-%ea%b0%84-%ec%83%81%ec%86%8d-%ea%b0%88%eb%93%b1/ Thu, 22 May 2025 12:20:38 +0000 https://pricewiki.xyz/?p=4540 사례 저는 3남매 중 장남입니다. 아버지께서 돌아가신 후 유산 분할을 놓고 형제들 간 갈등이 깊어졌습니다. 아버지는 생전에 특별히 유언장을 남기지 않으셨고, 어머니는 저희가 어릴 때 돌아가셔서 상속인은 저희 3남매뿐입니다. 문제는 아버지께서 돌아가시기 전 수년간 제가 홀로 병간호를 도맡았다는 점입니다. 아버지가 지병으로 거동이 불편하셨고, 다른 형제들은 모두 지방이나 외국에 거주해 실질적인 간병은 제가 전담했습니다. 병원비나 생활비도 […]

The post 장남의 간병 기여와 형제 간 상속 갈등 appeared first on 프라이스위키.

]]>
사례

저는 3남매 중 장남입니다. 아버지께서 돌아가신 후 유산 분할을 놓고 형제들 간 갈등이 깊어졌습니다. 아버지는 생전에 특별히 유언장을 남기지 않으셨고, 어머니는 저희가 어릴 때 돌아가셔서 상속인은 저희 3남매뿐입니다.

문제는 아버지께서 돌아가시기 전 수년간 제가 홀로 병간호를 도맡았다는 점입니다. 아버지가 지병으로 거동이 불편하셨고, 다른 형제들은 모두 지방이나 외국에 거주해 실질적인 간병은 제가 전담했습니다. 병원비나 생활비도 대부분 제가 부담했으며, 아버지 명의의 아파트에 함께 살며 관리도 제가 해왔습니다.

그런데 막상 상속 절차를 밟으려 하자, 동생들과 여동생이 아버지의 전 재산에 대해 균등 분할을 주장했습니다. 심지어 동생은 “장남이라고 더 받으려는 건 시대착오적”이라며, 상속재산 협의서에 서명도 거부했습니다. 저는 최소한 제가 병간호와 재산관리에 기여한 부분을 인정해줘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불과 몇 달 전, 제게 “내가 가진 건 다 네가 챙겨라. 네가 고생했다”고 하신 말씀도 있었고, 그에 따라 통장 관리를 전적으로 맡긴 바도 있습니다. 그러나 형제들은 그걸 증거로 인정하지 않았고, 오히려 “아버지가 정신이 온전치 않았던 것 아니냐”며 문제 삼았습니다.

이제는 형제 간 관계까지 파탄날 지경이고, 상속재산 분할 협의는 전혀 진척이 없습니다. 저는 그동안의 간병과 관리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요구하고 싶은데, 법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할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법적 문제 및 관련 법령

상속인 구성과 상속 비율

문제 상황: 아버지가 유언장을 남기지 않았습니다. 어머니는 이미 사망하셨고, 남은 상속인은 장남인 귀하와 남동생, 여동생, 이렇게 3남매입니다.

법적 기준

  • 민법 제1000조: 자녀는 1순위 상속인입니다.
  • 민법 제1009조: 1순위 상속인은 동등하게 나눠 가집니다.→ 각 1/3씩 상속받는 것이 원칙입니다.

주의할 점: 과거에는 장남이 더 많이 받았지만, 1990년 개정 이후 동등 분할이 원칙입니다. 동생들이 1/3씩 주장하는 것은 현행법에 맞는 주장입니다.

귀하의 기여와 ‘기여분’ 문제

문제 상황: 귀하는 아버지를 수년간 간병하고, 병원비·생활비 지출, 재산 관리(아파트, 통장)도 도맡아 했지만, 동생들은 이런 점을 인정하지 않고 똑같이 나누자고 주장합니다.

법적 기준

  • 민법 제1008조의2: 상속재산의 유지 또는 증가에 특별히 기여한 경우, 법정상속분 외에 ‘기여분’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기여분은 먼저 떼고 남은 재산을 나눕니다.

현실 적용

  • 귀하가 병원비, 간병, 아파트 관리 등을 담당했다면, 법원에서 기여분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다만, 지출 증빙 자료(영수증, 계좌내역 등)가 있어야 하며, 기여 정도에 따라 보통 전체 재산의 20~30% 수준이 인정됩니다.

아버지의 ‘구두 유언’ 문제

문제 상황: 아버지가 “다 네가 챙겨라”라고 말한 것을 들었지만, 유언장은 없습니다.

법적 기준

  • 민법 제1065조: 유언은 반드시 법정 방식(자필, 공정증서, 녹음 등)을 따라야 합니다.→ 구두로 한 말은 유언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활용 방안: 유언은 아니지만, 아버지가 귀하의 기여를 인정한 정황 증거로 법원 심리에서 일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신 상태 관련 주장엔 의료기록(치매 여부 등)이 반박 자료가 됩니다.

유류분 침해 우려

문제 상황: 귀하가 기여분으로 많은 재산을 받게 되면, 동생들이 “우리 몫을 침해했다”고 유류분 반환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법적 기준

  • 민법 제1112조: 자녀의 유류분은 1/2, 즉 1/6씩 보장됩니다.
  • 민법 제1115조: 침해된 경우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상속 재산에서 귀하가 기여분을 받고 나머지를 나눌 때, 동생들이 최소한 1/6 이상 받도록 조정하면 분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상속 협의 실패 시 절차

문제 상황: 동생들이 협의서에 서명을 하지 않아 상속 절차가 지연되고, 가족 관계도 악화되고 있습니다.

법적 기준:

  • 민법 제1013조: 상속인은 협의가 안 될 경우, 가정법원에 상속재산 분할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실무 대응:

법원 심판을 통해 분할하게 되며, 이때 귀하의 기여 여부, 증거자료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향후 제도 개편 정보

주의 사항: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2025년 12월 31일 이후부터 유류분과 기여분 제도가 개정될 예정입니다.

→ 2026년 이후까지 분쟁이 이어지면, 기여분이 더 명확하게 인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응 방법

이 사이트의 정보는 일반적인 법률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인 법률자문이나 공식적인 법적 의견이 아닙니다. 구체적인 법적조언이 필요한 경우, 변호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이 사이트의 정보이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떠한 법적책임도 지지않습니다.

1단계: 증거 수집

  • 병원비 영수증, 간병 내역, 통장 관리 증거, 아파트 유지 관련 문서 확보
  • 아버지의 정신 상태 입증 자료(치매 진단 없음 등)

2단계: 동생들과 협의 시도

  • 기여분만큼 먼저 떼고 나머지를 3등분하는 안 제시
  • 유류분(1/6)은 보장하면서 조율
  • 감정적 대립보다는 서면 협상안 + 중재자 활용 추천

3단계: 법원 청구

  • 협의가 안 되면 가정법원에 분할심판 및 기여분 청구
  • 평균 6개월~1년, 증거가 충분하면 더 빠르게 결정 가능

4단계: 변호사 선임

  • 상속 전문 변호사 상담을 통해 절차 진행
  • 증거 준비, 심리 대응, 협의 조정 등 전반적 지원 가능

The post 장남의 간병 기여와 형제 간 상속 갈등 appeared first on 프라이스위키.

]]>
4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