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키크론(Keychron)은 2017년에 설립된 기계식 키보드 전문 스타트업 브랜드로, 중국 선전시에서 시작하여 현재 홍콩에 본사를 두고 있다. macOS 및 Windows와의 높은 호환성, 블루투스 무선 연결, 세련된 디자인을 강점으로 키보드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했다. 최근에는 마우스와 같은 주변기기 사업으로도 확장하고 있다.
역사
키크론은 기계식 키보드 시장에서 macOS 호환성이 부족했던 틈새를 공략하며 성장했다. 2017년 설립 이후, 가성비 중심의 V 시리즈, 주력 K 시리즈, 프리미엄 Q 시리즈 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이며 빠르게 제품군을 확장했다. 특히 무선 연결성과 커스터마이징 옵션으로 사용자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았다.
특징
키크론 키보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 macOS 및 멀티플랫폼 호환성: macOS, Windows, iOS, Android 등 다양한 디바이스와 원활히 호환되며, 특히 Apple 기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키맵을 제공한다.
- 블루투스 및 유무선 연결: 대부분의 모델이 블루투스 5.1과 USB-C 유선 연결을 지원하며, 최대 3대 기기와 멀티페어링이 가능하다.
-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옵션: 알루미늄 프레임 추가, RGB/단색 백라이트, 핫스왑 지원, 스위치 종류(게이트론, 키크론 K Pro 등) 등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 가능하다.
- 게이트론 스위치 채용: 체리축 대비 저렴하면서도 유사한 타건감을 제공하는 게이트론 스위치를 주로 사용한다. 일부 모델은 키크론 자체 스위치나 로우 프로파일 스위치를 지원한다.
- QMK/VIA 지원: 키크론 런처 및 QMK 펌웨어를 통해 키맵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오픈소스 코드로 데이터 보안을 강화했다.
- 디자인: 미니멀하고 레트로 감성을 강조한 디자인으로, 화이트 및 레트로 색상 옵션이 인기를 끌고 있다.
제품 라인업
키크론은 다양한 배열과 용도에 맞춘 키보드와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주요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키보드
- Q 시리즈: 프리미엄 라인업으로, 풀 알루미늄 바디와 가스켓 마운트 설계를 특징으로 한다. 예: Q1 Pro(75%, 블루투스 지원), Q13 Pro(앨리스 배열).
- K 시리즈: 주력 라인업으로, 가성비와 성능의 균형을 맞췄다. K2, K8, K10 등 다양한 배열 제공. 로우 프로파일 모델(K3, K5)도 포함.
- V 시리즈: 100달러 이하 가성비 라인업. V3 PRO MAX는 저소음 스위치와 RGB를 지원한다.
- Lemokey L 시리즈: 게이밍에 특화된 라인업. L5 HE 8K는 8KHz 폴링레이트와 래피드 트리거를 지원한다.
- Lemokey X 시리즈: 비키 스타일 및 개스킷 마운트 설계. 핫스왑 미지원, 이중사출 키캡 사용.
- B 시리즈: 슬림 디자인의 무선 키보드. B1은 멀티페어링과 키스킨을 제공한다.
- C 시리즈: 블루투스 연결을 제외한 유선 전용 모델. K8, K10의 유선 버전으로 추정.
마우스
- Lemokey G 시리즈: Pixart 3950/3395 센서를 사용한 무선 게이밍 마우스. G1은 8K 폴링레이트, G2는 경량화 모델이다.
- M3: 2.4GHz 및 블루투스 연결, 26000dpi를 지원하는 플래그십 마우스.
액세서리
- 키캡: KSA, OSA, 체리, OEM 프로파일 등 다양한 옵션.
- 스위치: 키크론 K Pro, 게이트론, 카일, 체리, 로우 프로파일 스위치.
- 팜레스트: 실리콘 소재로 인체공학적 설계.
- 키스킨, 케이블, 보강판 등.
장단점
장점
- 높은 호환성: macOS와 Windows를 모두 지원하며, 블루투스 연결로 다기기 사용이 편리하다.
- 커스터마이징: 다양한 옵션과 QMK/VIA 지원으로 개인화 가능.
- 가성비: V 시리즈와 K 시리즈는 합리적인 가격대에서 높은 품질을 제공한다.
- 디자인: 미니멀하고 세련된 외관으로 데스크 셋업에 적합.
단점
- 국내 A/S 및 가격: 수입 제품 특성상 가격이 높고, A/S 처리(배송비 등)가 불편할 수 있다.
- 초기 품질 문제: K1, K3의 광축 스위치에서 입력 오류가 발생하는 사례가 보고되었다.
- 게이트론 스위치 한계: 청축의 경우 키압 불균일 문제나 윤활 필요성이 제기된다.
- 국내 커뮤니티 평: 입력 안정성과 반응성에서 게이밍 브랜드 대비 약점이 있다는 의견이 있다.
국내 시장
한국에서는 공식 수입사(지티기어 등)를 통해 유통되며,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29CM, SSG.COM 등에서 구매 가능하다. 그러나 해외 대비 높은 가격과 느린 신제품 업데이트 주기가 단점으로 꼽힌다. 국내 키보드 커뮤니티에서는 가성비와 디자인은 호평받으나, 입력 안정성과 A/S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
기타
- 키크론 런처: 키보드 설정 및 키맵 커스터마이징을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로, VIA보다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 레트로 라인업: K8 Retro, C1 Retro 등 기존 모델에 레트로 감성을 더한 제품이 꾸준히 출시된다.
- 인체공학 키보드: Q13 Pro, Q14 Pro(앨리스 배열), Q15 Max(오쏘리니어 배열) 등 독특한 배열로 손목 피로를 줄이는 제품을 제공한다.
여담
키크론은 빠른 제품 출시 주기로 다양한 사용자 니즈를 충족시키지만, 일부 모델의 설계 문제(예: K3 광축 입력 오류)로 초기 사용자 불만이 있었다. 이후 Q 시리즈와 Lemokey 라인업을 통해 품질 개선에 힘쓰고 있다. 또한, 한컴타자와 협업한 ‘산성비’ 게임 등 독특한 마케팅으로 주목받았다.